까만양





오늘은 곰팡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곰팡이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먼저 곰팡이가 생물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부터 설명하는게 좋을 것 같아.






생물은 크게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생물로 나뉘여






차후에 설명하겠지만 진정세균과 고세균은 핵막이 없기 때문에 (핵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다.)





유전물질이라고 부르는 DNA가 세포질 전체에 퍼져 있어. (미개한 냄새가 풍기기 시작한다)





이런 특징을 가졌기 때문에 진정세균과 고세균을 합쳐서 원핵생물이라고 불러 





진핵생물쪽으로 가볼까?




진핵생물 끝에 보면 Animals, Plants, Fungi 이렇게 셋이 보일거야. (그 외의 진핵생물은 걍 뭉뚱그려서 원생생물이라고 해)





사실 이 셋이 이 지구에 가장 영향력 있는 진핵생물들이라 할 수 있어. 




가장 개체수, 종수도 많고 지구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걸랑.


<진핵생물 3대장>








그중에 오늘은 곰팡이(진균)에 대해서 알아볼거야.










우린 흔하게 곰팡이라는 말을 쓰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진균 또는 균류라는 말을 많이 써





우리가 생각하기에 균은 대장균, 살모넬라, 비브리오 이런거 생각할텐데 걔네들은 '세균'이야 (bacteria) 



<응가처럼 생긴 살모넬라. >




위에서 본 것처럼 원핵생물이고  단세포생물인거고




그에 반해 곰팡이라고 부르는 균류는 그보다 훨씬 고등생물인거지.




뭐.. 생물계 최고존엄인 우리가 보기엔 둘다 그게그거인 미개한 븅신들이 도토리 키재기 하는 것 같지만..






그럼  균류라고 부르는 이녀석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1. 단세포 또는 다세포 형태를 취하고 있어


술이나 빵을 만들때 효모라는 녀석을 쓰는거 알지? 이새끼들이 발효시키잖아 



바로 그때 그 효모가 균류중 가장 단순한 형태인 단세포형태야





<균류계의 귀염둥이 효모>




저렇게 둥글둥글한 형태로 있다가 번식하고 싶을때쯤 



혹이 조그맣게 생기고 그게 자라면 톡 떨어져 딸세포가 된다. (물론 무성생식때의 얘기..)








효모의 발효에 대한걸 알고싶은 녀석들이 있겠지만, 그거 설명하려면 물질대사, 발효 처음부터 죄다 설명해야하니 넘어갈게







그래서 이런 효모들 외에는 대부분 다세포 형태를 하고 있는데 




그 형태가 마치 미세한 실들이 마구 엉켜있는 모습이라 '균사'라고 불러






<썩은 나무에 자주보이는 흰색 털뭉치부터 버섯, 빵 곰팡이(펨창들의 하트브레이커)까지 모두 균사다>





균류는 일반적으로 식물처럼 스스로 에너지를 합성할 수 없기때문에 

(요런걸 종속영양생물이라고 해. 반면에 식물은 독립영양생물. 동물도 종속영양생물이야)




주변으로부터 영양분을 쫙쫙 빨아와야 하는데 그런 역할을 하는게 균사인거지 균사가 저렇게 미세한 실형태로 퍼지면 



표면적이 어마어마하게 넓거든 그때 말했던 S/V ratio(표면적대 부피비율)를 초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지.





균사를 더 확대해보자.


확대해서 유심히 보면 요렇게 세포와 세포사이에 격벽이라고 하는 세포를 나누는 벽을 치고 있어.








2.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지 꼴리는대로 할 수 있다.




이 그림은 균류중에서도 접합균이라고 하는 분류의 생활 방식인데



일반적으로는 무성생식을 해 존나 간단해 포자가 발아해서 균사로 자라나고 거기서 포자낭이라고 하는 포자덩어리를 생산한다음



곳곳에 포자를 뿌려버리지 그럼 그포자가 또 자라날거고 계속 이런식...



반면에 유성생식은 서로 다른 균사끼리 맞닿는거야 그럼 섹스 비슷한걸 해서 서로의 핵을 합쳐서 유전정보를 섞지



대체로 무성생식은 환경이 좋을때 개체수를 존나 불리기위해서 하는거고, 유성생식은 환경이 슬슬 좆같아지려할때 한다고 하지만



그것도 어떤균이냐에따라 달라. 아예 무성생식만 하는종도 있고..









3. 분해자



이 지구에서 생물의 역할은 크게 세가지로 나뉘여


1. 식물과 같은 빛이나 다른 물질로 생물학적 에너지를 합성하는 '생산자'


2. 그걸 맛있게 쳐먹는 '소비자'


3. 저새끼들이 저러든 말든 나중에 뒤지면 그걸 분해하여 자연으로 돌리는 '분해자'




이중에 3번을 균류새끼들이 담당하고 있지.













몇가지 특징이 더 있지만 분자생물학적인 특징이기때문에 말해도 이해하기 쉽지 않을듯해서 넘어갈게.






그럼 균류에는 어떤 녀석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1. 병꼴균류


가장 큰 특징은 포자가 동물성포자 형태를 띠고 있다는거야




저렇게 포자 끝에 편모라고 하는 꼬리가 달려있어서


저 꼬리로 축축한 토양을 헤엄쳐다니지.





그리고 자실체라고 하는 구형의 균사가 가득차있는 구조를 만들어







병꼴균의 생활사야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두균사가 만나서 자실체를 만들어내면 유성생식



포자가 정착하여 포자에서 자실체를 만들어지면 무성생식








2. 접합균류


우리 펨창들 하트브레이커 빵곰팡이새끼들이 모여있는 분류군이야






이런 검은색 포자낭을 만들어내는 검은빵곰팡이가 가장 대표적이지





이놈들은 두 균사가 만나면 균사사이에 저런 검은색 접합포자낭을 만드는데 이런 이유로 접합균이라 불려














3. 내생균근균류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는 녀석이야.




식물에 뿌리에 기생하면서 뿌리털 코스프레를 하지.



<그림에서 오른쪽. 식물의 세포벽을 뚫고 들어간다.>



사실 식물과 이녀석은 기생이 아니라 공생이라고 하는 서로 이득을 취하는 관계를 하고 있어.



식물은 내생균근균에게 안전한 서식처를 제공해주면 균근균은 뿌리털 역할을 하여 주변의 영양분이 수분을 좍좍빨아서 식물에게 주지










4. 자낭균류


자낭이라고 하는 포자주머니를 만드는게 특징인 녀석들이야




<다양한 형태의 자낭>




자낭은 정말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우리가 아는 몇몇 버섯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도 해 (대부분 버섯의 형태가 아니다)




<곰보버섯과 송로버섯은 자낭균이었다>



송로버섯은 존나 비싼거 알지? 





<주름안장버섯, 독버섯이다 조심>






<털작은입술버섯>





<들주발버섯>




<넓적콩나물버섯>







생활사는 요렇게 자낭과를 형성한다는 중요한 특징만 알고가자.











5. 담자균류


구름버섯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버섯류들이 여기에 속하고 있어.



버섯하면 담자균류라고 봐도 되겠다 (정상적인 버섯형태라면, 위에 자낭균 버섯들은 다 하나하나 좆같이 생겼잖아)



자실체를 저런 버섯형태로 만드는게 담자균의 특징







5-1 목이류


잡채에 들어가는 목이버섯알지? 그 종류야



Tremella mesenterica



Exidia glandulosa







5-2 주름버섯류


대부분의 버섯이 속하는 분류군이지


각 목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종 소개해볼게



주름버섯


<흰 주름버섯>




<느타리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야생조건에선 이렇게 자란다>





<표고버섯>


이렇게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식용버섯은 주름버섯에 속한다고 보면 됨.




고약버섯


<주름고약버섯>




그물버섯


<노란망태버섯>




방귀버섯


<테두리방귀버섯, 저 둥글둥글한 덩어리에서 포자를 푹푹 뿜어내는데 마치 방귀끼는것 같다고 해서 방귀버섯>





나팔버섯


<뿔나팔버섯>






말뚝버섯


<붉은말뚝버섯>







꾀꼬리버섯


<붉은꾀꼬리버섯>






조개버섯


<전나무조개버섯>








소나무비늘버섯


<무늬소나무비늘버섯>









구멍장이버섯


<검정대구멍장이버섯>




<영지버섯>







무당버섯


<냄새무당버섯>






곤약버섯


<곤약버섯목, 이름을 잘 모르겠어>








사마귀버섯


<주먹사마귀버섯>








미세고약버섯


<가는아교고약버섯>






등등등 체력 방전됐어... 







오늘은 여기까지 할게 





-끝-



댓글 로드 중…

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